'뿌린 대로 거둔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와 속담은 오랜 세월 동안 우리의 삶을 인도하는 나침반 역할을 해왔는데요, '뿌린 대로 거둔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와 속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뿌린 대로 거둔다 사자성어, 뿌린 대로 거둔다 속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뿌린 대로 거둔다 사자성어>
'뿌린 대로 거둔다'는 개념을 담은 사자성어는 동양 철학과 일상 지혜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일곱 가지를 사자성어를 아래와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① 권선징악(勸善懲惡)
'착한 일을 권장하고 악한 일을 징계함'이라는 뜻으로, 선행과 악행에 따른 응보의 원리를 강조합니다.
② 자승자박(自繩自縛)
'자기가 한 말과 행동에 자기 자신이 옭혀 곤란하게 됨'이라는 뜻으로, 자기 스스로 어려움을 자초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③ 자업자득(自業自得)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음'이라는 의미로, 자신이 저지른 행동의 결과는 결국 자신에게 돌아온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④ 인과응보(因果應報)
'선을 행하면 선의 결과가 악을 행하면 악의 결과가 반드시 뒤따름'이라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그에 맞는 결과가 반드시 생긴다는 법칙을 나타냅니다.
⑤ 종두득두(種豆得豆)
'콩을 심으면 반드시 콩이 나온다'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그에 맞는 결과가 반드시 생긴다는 법칙을 나타냅니다.
⑥ 종과득과(種瓜得瓜)
'오이를 심으면 반드시 오이가 나온다'는 뜻으로, 원인에 따라 그에 맞는 결과가 반드시 생긴다는 법칙을 나타냅니다.
⑦ 출이반이(出爾反爾)
'너에게서 나와서 너에게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좋은 일 나쁜 일이 결국은 모두 자기 자신에 의해 초래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뿌린대로 거둔다 속담>
①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남에게 언행을 바르게 해야 자신에게도 좋은 반응이 돌아온다는 뜻.
② 복을 지어야 복을 받는다.
자기가 먼저 남에게 선행을 베풀어야 자기에게도 행운과 행복이 찾아온다는 뜻.
③ 배나무에 배 열리지 감 안 열린다.
배나무에는 배만 열리고 감이 열리지 않듯이 모든 일은 원인에 따라서 거기에 걸맞는 결과가 생긴다는 뜻.
④ 심은 대로 거둔다.
모든 일은 원인에 따라 거기에 걸맞는 결과가 나타난다는 뜻.
⑤ 오이 덩굴에 오이 열리고 가지 나무에 가지 연다.
오이 덩굴에 오이 열리고 가지 나무에 가지가 열리듯이 모든 일은 원인에 따라서 그에 걸맞는 결과가 나타난다는 뜻.
⑥ 외 심은 데 콩 나랴?
참외를 심은데 콩이 날 수 없듯이 모든 일에는 원인에 따라 그에 걸맞는 결과가 생긴다는 뜻.
⑦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콩 심은 데는 콩이 나고 팥 심은 데는 팥이 나듯이 모든 일은 원인에 따라 거기에 걸맞은 결과가 나타난다는 뜻.
<뿌린 대로 거둔다 뜻>
품질이 좋은 씨앗을 뿌리면 품질이 좋은 곡식을 얻을 수 있듯이, 모든 일은 원인에 따라 거기에 걸맞는 결과가 나타난다는 뜻입니다.
다시 말해, 잘못을 저지르면 벌을 받고 선행을 베풀면 거기에 걸맞는 보답을 받는 것처럼 본인이 행한 일에 대한 결과는 결국 본인에게로 돌아온다는 뜻입니다.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성어속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면초가의 뜻 사면초가 유래 상세 설명 (0) | 2025.09.04 |
---|---|
등잔 밑이 어둡다는 뜻 등잔 밑이 어둡다 한자 참고하세요 (0) | 2025.04.25 |
머리카락으로 짚신을 삼는다라는 뜻 참고하세요 (0) | 2025.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