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지 돼지 맞춤법 '맞춤법이 헷갈리기 쉬운 말 중에 '되지'와 '돼지'가 있는데요, '되지'와 '돼지' 중에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되지 돼지 맞춤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되지'가 바른 표현입니다. - 되지 (O) - 돼지 (X) 동사 '되다'의 어간 '되' 뒤에 어미 종결어미 '지'가 붙으면 '되지'가 되며, 어간 '되' 뒤에 어미 '어'가 붙으면 '되어(돼)'가 됩니다. '돼지'를 풀어보면 '되어지'가 되어 말이 되지 않으므로, 어떤 사실에 대하여 상대에게 친근한 말투로 묻는 뜻을 나타내거나, 어떤 사실에 대하여 친근한 말투로 서술하는 뜻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지'가 붙은 '되지'가 바른 표현인 것입니다. (예) 내가 그렇게 해도 되지. (O) (예) 내가 그렇게 해도 돼지. (X) (예).. 바른용어 2024. 4. 6. 해야되 해야돼 맞춤법 및 띄어쓰기 알아봐요 맞춤법이 틀리기 쉬운 말 중에 '해야되'와 '해야돼'가 있는데요, '해야되'가 바른 표현일까요? '해야돼'가 바른 표현일까요? 해야되 해야돼 맞춤법 및 띄어쓰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을 드리자면 '해야 돼'가 바른 표현입니다. - 해야 되 (X)- 해야 돼 (O) 동사 '되다'는 '되어(돼), 되니, 되고' 등으로 활용되는데요, '되다'의 어간은 '되'입니다. 어간 '되' 뒤에는 반드시 어미가 붙어 '되어(돼), 되니, 되고, 되므로' 등과 같이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되'의 형태와 같이 어간(되)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되어'의 준말인 '돼'가 들어간 '해야 돼'가 바른 표현입니다. (예) 내일까지는 반드시 해야 되 (X)(예) 내일까지는 반드시 해야 돼 (O) (예.. 바른용어 2024. 4. 3. 무너트리다 무너뜨리다 복수표준어 여부 간혹 보면 복수표준어인지 아닌지가 혼동되는 말들이 있는데요, 그 예로 '무너트리다'와 '무너뜨리다'를 꼽을 수 있습니다. '무너트리다 무너뜨리다'는 복수표준어일까요? 무너트리다 무너뜨리다 복수표준어 여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무너뜨리다'와 '무너트리다'는 동일한 의미를 지닌 복수표준어입니다. ※ 무너트리다 = 무너뜨리다. 표준어규정 제3장 제5절 제26항에서는 '한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몇가지가 널리 쓰이며 표준어 규정에 맞으면,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라고 규정하면서 '뜨리다'와 '트리다'는 둘 다 의미가 동일한 복수표준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무너트리다'와 '무너뜨리다'는 의미가 동일한 복수표준어입니다. (예) 그는 돌탑을 무너트렸다. (O)(예) 그는 돌탑.. 바른용어 2024. 4. 2. 조용히 조용이 맞춤법 알아봐요 틀리기 쉬운 말 중에 '조용히'와 '조용이'가 있는데요, "조용히 있어라"와 "조용이 있어라" 중 어느 말이 바른 표현일까요? 조용히 조용이 맞춤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조용히'가 바른 표현입니다. 따라서 "조용히 있어라"가 바른 표현이 됩니다. - 조용히 (O)- 조용이 (X) 그럼 '조용히'와 '조용이' 중 '조용히'로 적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조용히 뜻 (품사는 부사) ① 소란스럽지 않고 은밀히.② 성격이나 언행 등이 얌전히.③ 어떤 문제 등이 없이. 2. '조용이'가 아니고 '조용히'로 적는 이유한글맞춤법 제6장 제51항은 부사의 끝음절이 분명하게 '이'로 발음나면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날 수 있는 경우는 '히'로 적.. 바른용어 2024. 3. 27. 이전 1 2 3 4 다음